[Linux] chgrp 사용 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그룹 소유권 변경
chgrp는 chown과 같이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하지만 chown은 그룹만 따로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룹만 따로 변경하려면 chgrp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 방법
위 터미널을 보면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testgrp 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파일을 다른 그룹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 chgrp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 방법
: chgrp [옵션] 그룹이름 파일/디렉토리
[root@haechan home]# ll
drwx------. 2 mytest test2 102 Jan 1 05:46 mytest
drwx------. 2 test_acc testgrp 102 Jan 1 05:38 test_acc
[root@haechan home]# chgrp test2 test_acc/
[root@haechan home]# ll
drwx------. 2 mytest test2 102 Jan 1 05:46 mytest
drwx------. 2 test_acc test2 102 Jan 1 05:38 test_acc
# test_acc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이 test2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하지만 디렉토리를 변경한다고 해서 내부의 파일까지 변경되지는 않기 때문에 -R 옵션을 사용하여 내부의 모든 파일까지 변경할 수 있다.
[root@haechan home]# ll test_acc/
-rw-rw-r--. 1 test_acc testgrp 0 Jan 1 05:37 testfile.sh
[root@haechan home]# chgrp -R test2 test_acc/
[root@haechan home]# ll test_acc/
-rw-rw-r--. 1 test_acc test2 0 Jan 1 05:37 testfile.sh
# 내부 파일까지 그룹 소유권이 변경된 것을 확인
주요 옵션
-R : 디렉토리를 지정 시 디렉토리 내부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권 변경
-c : 변경된 정보 출력
-f : 중요한 오류 메시지 외 출력하지 않음
-v : 명령 진행 정보 출력
-h : 심볼릭 링크 파일 그룹 소유권 변경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mask 설정 방법 (2) | 2023.01.05 |
---|---|
[Linux]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 방법 (0) | 2023.01.03 |
[Linux] chown 사용 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소유권 변경 (0) | 2023.01.01 |
[Linux] chmod 사용 방법 / 퍼미션 변경 (0) | 2022.12.30 |
[Linux] 파일의 특수 권한 (Set-UID, Set-GID, Sticky-Bit)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