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리눅스 18

[Linux] ftp 설치 방법 (vsftpd)

[Linux] ftp 설치 방법 (vsftpd) 오늘은 시스템 간 파일 전송에 도움을 주는 ftp를 사용해보도록 하자.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준말로, 말 그대로 파일 전송에 도움을 주는 프로토콜이다. 바로 한 번 설치 해보자. 설치 방법 먼저 yum 명령어를 사용하여 ftp를 설치한다. 데몬 이름은 'vsftpd'이다. # yum install -y vsftpd 설치 후 데몬 상태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2023-01-12 01:47:17 ~] [root@haechan ~]# systemctl status vsftpd ● vsftpd.service - Vsftpd ftp daemon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vsftpd.se..

IT/리눅스 2023.01.12

[Linux] seq 사용 방법 / 연속된 숫자 출력

[Linux] seq 사용 방법 / 연속된 숫자 출력 리눅스에서는 연속된 숫자를 출력할 일이 생각보다 많다. 그럴 때 쓰는 것 중 하나가 'seq' 라는 명령어인데, 오늘은 이 seq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seq는 sequence의 약자로써, 연속된 숫자를 출력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seq START_NUM END_NUM seq START_NUM ADD_NUM END_NUM [root@haechan ~]# seq 1 5 1 2 3 4 5 [root@haechan ~]# seq 1 2 5 1 3 5 [root@haechan ~]# seq 5 -2 1 5 3 1 그리고 아주 요긴하게 사용되는 것이 있는데, 숫자의 자릿수도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이 있다. [root..

IT/리눅스 2023.01.09

[Linux] 호스트 네임 변경 방법

[Linux] 호스트 네임 변경 방법 호스트명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hostname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된 호스트명 그대로 출력 두 번째 hostname -s 명령어를 사용하여 .(dot) 을 기준으로 앞 부분만 출력하는 방법 세 번째 HOSTNAME 환경 변수 출력 호스트명 확인 방법 [root@haechan etc]# hostname haechan.test [root@haechan etc]# hostname -s haechan [root@haechan etc]# echo $HOSTNAME haechan.test 호스트명 변경 방법 호스트명 변경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일시 적용, reboot 시 초기화 된다. (hostname 명령어 사용) 두 번째는 영구..

IT/리눅스 2023.01.08

[Linux] ln 사용 방법 /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Linux] ln 사용 방법 /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오늘은 ln 명령어를 사용하여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용 방법 심볼릭 링크 생성 [root@haechan conf]# ln -s /usr/local/src/httpd-2.4.51/test/modules/http2/conf ~/my_test 하드 링크 생성 [root@haechan my_test]# ln test.conf ~/test.conf 심볼릭 링크 심볼릭 링크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경로를 단축할 때 주로 사용한다. 보통 자주 사용하는 경로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가 있을 때 경로를 전부 입력하기에 번거롭다. 이럴 때 보통 심볼릭 링크를 사용한다. 기존 경로 : /usr/local/..

IT/리눅스 2023.01.08

[Linux] umask 설정 방법

[Linux] umask 설정 방법 오늘은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 생성 시 퍼미션이 자동으로 지정되는 명령어인 umask에 대해 알아보겠다. 기본적으로 umask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출력 된다. [root@haechan ~]# umask 0022 이 값의 의미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해당 값만큼 빼주면 된다. 무슨 의미냐면, 기본적으로 파일을 생성할 때 일반 파일은 666의 퍼미션을 갖고 있고, 디렉토리는 777의 퍼미션을 갖고 있는다. 이 때 umask가 0022라면 다음과 같이 계산하면 된다. 일반 파일: 666 - 022 = 644 / -rw-r--r--. 디렉토리: 777 - 022 = 755 / drwxr-xr-x 이 umask 값을 변경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IT/리눅스 2023.01.05

[Linux]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 방법

[Linux]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 방법 / export 명령어 오늘은 리눅스에서 설정되어 있는 환경변수를 확인하는 방법과, 설정할 환경변수를 추가하는 방법, 환경변수 변경 방법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환경변수 확인 및 설정 방법 환경변수를 확인하려면 env나 set 명령어를 이용해야 하는데, set 명령어가 env 명령어보다 더 많은 환경변수를 출력하기 때문에 set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set 명령어에는 모든 환경변수 설정값에 대한 내용도 들어있기 때문에 내용이 복잡하여 PATH나 shell 등 간단한 기본 환경변수를 확인하려면 env 명령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확인 방법은 grep을 사용하여 확인하면 되는데, grep 사용법은 이전 게시글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자. [..

IT/리눅스 2023.01.03

[Linux] chgrp 사용 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그룹 소유권 변경

[Linux] chgrp 사용 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그룹 소유권 변경 chgrp는 chown과 같이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하지만 chown은 그룹만 따로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룹만 따로 변경하려면 chgrp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사용 방법 위 터미널을 보면 파일의 그룹 소유권은 testgrp 그룹이 소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파일을 다른 그룹으로 변경하고 싶을 때 chgrp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 방법 : chgrp [옵션] 그룹이름 파일/디렉토리 [root@haechan home]# ll drwx------. 2 mytest test2 102 Jan 1 05:46 mytest drwx------. 2 test_acc testgrp 102 Jan 1 05:3..

IT/리눅스 2023.01.01

[Linux] chown 사용 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소유권 변경

[Linux] chown 사용법 / 파일 및 디렉토리 소유권 변경 chown은 chmod와 다르게 소유권(Ownership)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A가 파일을 만들었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사람은 B라면 chown을 통해 파일 소유자를 B로 변경하는 명령어다. 보통 관리자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소유권으로 변경해주는 경우 많이 쓴다. 소유권에 대한 내용은 다른 글에서 상세히 설명 하였다 [Linux]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권과 허가권 [Linux]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권과 허가권 오늘은 리눅스에서의 소유권과 허가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소유권 (Ownership)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하여 소유권을 주장하는 것, root 계정은 lhc9763.tistory.com ..

IT/리눅스 2023.01.01

[Linux] chmod 사용 방법 / 퍼미션 변경

[Linux] chmod 사용 방법 / 퍼미션 변경 오늘은 리눅스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명령어는 chmod를 사용한다. 퍼미션에 대한 정보는 맨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chmod 설명 / 사용 방법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로서 이 네모칸의 권한을 변경하는 데 사용이 된다. 권한 표시 방법 : r, w, x 사용자 지정 방법 : u, g, o, a 숫자로 지정 방법 : x에 1, w에 2, r에 4를 대입해서 원하는 권한을 더해서 권한 부여 rw 권한 부여할 때는 w와 r을 더해서 6을 입력하면 된다. rx 권한을 부여할 때는 r과 x를 더해서 5를 입력하면 된다. 숫자는 751 이런 식으로 부여하는데, 7은 소유자 권한, 5는 그룹 권한, 1은 다른..

IT/리눅스 2022.12.30

[Linux] 파일의 특수 권한 (Set-UID, Set-GID, Sticky-Bit)

[Linux] 파일의 특수 권한 (Set-UID, Set-GID, Sticky-Bit) 오늘은 특수 권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용자는 간혹 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root 권한을 직접적으로 부여 할 순 없기 때문에 특수한 권한을 설정하여 일부 권한만 허용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특수 권한이다. 특수 권한에는 세 가지 속성이 있고, 각각 Set-UID, Set-GID, Sticky-Bit라고 한다. 이 특수 권한은 퍼미션처럼 파일에 설정이 되어 있다면 직접적으로 나타나는데, rwx와는 다른 형식으로 나타난다. 또한 보안에 상당히 예민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설정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Set-UID Set-UID가 설정되는 파일은 주로 실행 파일에 설정이 된다. S..

IT/리눅스 2022.12.29